카카오톡 실시간 상담
실시간 전화 상담
휴대폰 번호를 남겨주시면
1:1 온라인 상담을 제공합니다.
사건사례
로엘법무법인 사건사례입니다.
소유권이전등기
구분소유적 공유관계 해소를 주장하며 소유권이전등기를 이전받은 사안
해당 부동산에 관한 상대방의 단순 공유 주장을 배척하며 인용 판결
2022-08-01
사건개요

해당 토지의 최초 소유자인 A는 B, C, D에게 하나의 필지를 별도의 분필 절차 없이 공유지분이전등기를 해주는 형식으로 매각하여 A, B, C, D가 특정 부분을 각 구분소유하고 있었습니다.(A는 임야 부분, B, C, D는 농지부분) 해당 토지는 198X년부터 2019년까지 총 4차례에 걸쳐 경상북도에 의해 분필 되었는데, 그 과정에서 실제 토지 소유자에 대한 확인 없이 각 분필 된 토지 또한 원래의 공유지분 비율대로 공유토지로 등재되었습니다.


이후 A의 상속인 甲(피고1)은 E에게 甲이 구분소유하여 점유하고 있던 임야 부분을 모두 매각하기로 하였는데, 분필이 이루어진 탓에 등기부상 甲이 실제로 구분소유하고 있던 임야부분의 지분을 모두 이전하지 못하였고, 대신 해당 면적에 상응하는 만큼의 B, C, D가 구분소유하여 점유하고 있던 분필된 토지부분상의 甲의 공유지분을 모두 E에게 이전하였습니다.(이때 피고1은 E에게 자신의 모든 지분을 이전하였어야 함에도 농지 부분에 해당한 지분은 이전하지 않아 피고1도 여전히 공유관계로 남아있게 됩니다.) 


이후 B, C는 원고1, 원고2에게 지분을 매각하여 원고1, 원고2가 B, C의 구분소유를 승계하였고, D는 사망하여 상속인들(피고3~7)이 구분소유를 승계하였습니다. E도 사망하여 그의 상속인(피고2)이 구분소유를 승계하였습니다.


이후 원고1, 원고2, 피고3~7이 각 구분소유하고 있는 토지 중 일부분이 도로로 편입되어 수용예정지가 되었고, 그에 따라 경상북도로부터 등기부상 공유자들에게 공유지분 비율대로 보상금이 지급되었는데, 수용예정지의 실제 소유자가 아닌 피고1, 피고2도 공유지분권자라는 이유로 보상금을 일부 지급받았습니다.


이에 원고들은 ‘피고들이 분필된 농지부분의 진정한 소유자가 아니며, 피고들이 부당하게 지급받은 수용보상금을 돌려받고, 토지 소유관계도 명확하게 정리하기 위해 본 소송을 제기하게 되었습니다.

주요 쟁점 및 성공전략

상대방들(특히 피고1, 피고2)은 수용보상금 및 임야와 농지의 현재 시세 차이 등의 이유로 단순 공유관계로 남는 것이 훨씬 유리한 상황입니다. 이에 피고1, 피고2는 ‘위 토지는 등기부 기재에 따라 실제로 단순 공유관계에 불과하다.’는 주장을 하였습니다.


이에 원고들은, 

① 피고1과 E간의 매매계약서를 통해 ‘임야부분을 특정하여 매매한 사실’ 및 ‘임야면적을 맞추어 주기 위해 다른 토지의 지분도 이전등기 한 사실’, ② 이전 소유자 B, C의 여러 필지의 토지가 원고들에게 모두 같은 날 동시에 일체로 매매된 점, ③ B, C, D가 A로부터 농지부분을 매수한 이후 원고들에 이르기까지 줄곧 상호 경계를 침범하지 않고 농사를 지어온 사실, ④ 원·피고들 간에 상호 지료를 지급하거나 요청한 사실이 없다는 점 농지부분과 임야부분은 지료에 차이가 있으므로 피고들의 주장과 같이 단순 공유관계에 불과하다면, 농지를 배타적으로 점유하고 있는 원고들이 피고에게 그 차액만큼의 지료를 지급하는 것이 이치에 맞음  

 ⑤ 피고2는 임야부분을 배타적으로 점유하여 종중 산소로 쓰고 있고, 다른 공유자들이 이에 대해 일말의 항의조차 한 사실이 없는 점, ⑥ 원고들도 작물을 바꾸어 심어가면서 농지부분을 배타적으로 점유하고 있는데, 과반수 지분권자인 피고2가 토지 이용에 관해 수십년간 아무런 간섭도 하지 않은 점, ⑦ 현재 위 토지들의 이용 현황을 입증할 사진과 농협 거래자료 등을 구분소유관계의 증거로 제시하였고, ⑧ 50여년간 위 마을에 살아온 마을 이장 등을 증인신문하여 원고들에게 유리한 진술을 이끌어내었습니다.


또한, 구분소유관계가 인정되지 않을 경우를 대비하여 예비적으로 점유취득시효 주장도 하였습니다.

결과

재판부에서는 원고의 주위적 청구를 그대로 받아들여 사건 당사자들이 위 토지들을 각 구분소유하고 있다는 점을 인정하여 원·피고들이 실제 소유하고 있는 면적에 상응하는 토지들의 지분을 상호 이전하라는 판결을 내렸습니다.

분류

소유권이전등기

사건 담당 변호사
분류 제목 작성일 조회
부동산처분금지가처분이의
공매가 진행중인 신탁재산에 위탁자인 지역주택조합이 부동산처분금지가처분을 함으로 공매절차가 중단되자 신탁회사가 가처분이의를 하여 인용됨으로 가처분결정이 취소된 사례
부동산처분금지가처분이의
2024.12.06 1076
사업계획승인 처분금지가처분
부동산담보신탁계약상 후순위 우선수익자가 사업시행권 포기각서에 기한 사업시행권 명의변경절차 이행청구권을 피보전권리로 하여 위탁자인 채무자 명의 주택건설사업계획 승인에 대한 일체 처분행위의 금지를 구하는 가처분신청을 진행한 사안
사업계획승인 처분금지가처분
2024.10.15 907
소유권이전등기
담보신탁된 부동산의 수분양자가 신탁회사를 상대로 신탁 무효를 주장하며 신탁등기 말소등기절차의 이행을 대위청구한 사례
신탁계약의 무효 등을 이유로 한 수분양자의 신탁등기 말소등기 대위청구 소송 방어(전부승소)
2024.08.02 1445
부당이득금
담보신탁 부동산의 분양계약이 해지되고 신탁사에 제기된 분양대금반환 청구를 방어한 사례
분양계약에 대해 계약상, 법률상 의무가 없음을 주장하여 청구 전부 기각
2024.08.02 1326
임대차보증금반환
보증금반환을 거부하는 임대인을 상대로 빠르게 판결을 받은 사안
임대차보증금반환
2024.08.02 879
토지인도
토지매수 후 토지에 설치되어있는 컨테이너 철거 및 토지 인도를 구한 사안
토지 무단점유하고 있음을 주장하여 승소 판결 확보
2024.05.03 1109
건물인도
위탁자가 수탁자 동의없이 공사대금을 대물변제하는 내용의 이행합의서를 작성하였고, 이에 건물 인도를 청구한 사안
유효하지 않은 계약으로 무단점유하고 있음을 주장하여 승소 판결 확보
2024.05.03 927
건물인도
위탁자가 수탁자 동의없이 임대차 계약을 체결하였고, 이에 건물 인도를 청구한 사안
유효하지 않은 계약으로 무단점유하고 있음을 주장하여 승소 판결 확보
2024.05.03 1581
간접강제결정
통행방해금지등 가처분결정을 받았음에도 상대방이 방해물을 철거하지 않아 집행을 위해 간접강제 결정을 신청한 사안
간접강제
2024.02.27 1940
가처분결정 인가
통행방해금지등 가처분결정을 받았으나, 상대방 이의신청하여 이에 대응한 사건
통행방해금지등 가처분 이의신청 방어
2024.02.27 1327
웹 접근성
로엘법무법인은 모든 사용자가 장애 유무에 관계없이
웹 사이트를 동등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웹 접근성 준수 및 개선을 위하여 노력하고 있습니다.
고객중심 경영을 최우선 가치로 여기는 로엘법무법인은
앞으로도 고객의 편리한 이용을 위하여 최선을 다하겠습니다.